우선 폭설이 정확히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?
폭설
폭설(대설)이란 공간적, 시간적으로 집중되어 내리는 현상을 뜻하는데요
그럼 주의보와 경보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
주의보:24시간 즉 하루동안 새로 쌓인 눈이 5cm 이상이 예상될 때
경보:24시간 하루동안 새로 쌓인 눈이 20cm 이상 예상될 때(산지는 30cm 이상일 때)
폭설이 내리면 어떻게 될까요
눈은 한 시간에 5cm까지 쌓일 수 있어서 교통이 순식간에 마비될 수도 있고,
항공기 운항에도 문제가 큰 영향을 줄 수가 있는데요
또한 폭설이 지속될 경우 비닐하우스나 축사 같은 농업용 구조물을
훼손해서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도 합니다.
그렇다면 우리는 폭설로 인한 피해를 어떻게 최소화시킬 수 있을까요?
#비닐하우스나 축사, 창고 같은 구조물들을 한 번 더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은 정비하고
지지대 같은걸 설치해서 무너지지 않게 해줘야 됩니다.
#눈이 쉽게 녹을 수 있는 보온재나 화학약품(예시:염화칼슘) 같은걸 미리 구비해두어야 됩니다
#고립될 가능성이 있다면 만약을 위해 비상연락망 구축과
비상식량을 준비해야 됩니다(요즘은 군대에서 나오는 비상식량도 많이 팔더라고요)
#도심지역이라면 되도록 자가용 사용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
어쩔 수 없이 자가용을 사용하여야 한다면 고가도로, 커브길, 교량 등에서는 서행하고
다른 때보다 안전거리를 더 확보하고 급브레이크는 되도록 사용을 자제해야 됩니다
#도보로 걸어 다닐 때는 바닥이 넓은 신발이나 등산화등을 신어
낙상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(신발의 부착하는 스파이크도 있어요
#바닥이 빙판길이나 얼어서 미끄러울 수도 있으니 주머니에 손을 넣고 다니면 굉장히 위험해요!!!
절대 넣고 다니면 안돼요!
그렇지만 폭설이 꼭 피해만 끼치는 건 아니랍니다.
폭설이 내릴 때의 이점은
#가뭄도 해결해줄 수 있습니다.(눈이 녹으면서 대량의 물이 발생합니다)
#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
(이것 또한 윗말과 동일하게 눈이 녹으면서 생기는 물을 댐이나 저수지 같은 곳에 보관할 수 있어요)
#눈이 내리면서 공기 중에 있는 먼지 같은 것들이랑 같이 내려와서 대기질이 좋아진답니다
#겨울에 잘 발생할 수 있는 산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(아무래도 눈이 많다 보니 불이 안 붙을 수밖에 없습니다)
이상으로 폭설이 내릴 때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아봤습니다
여러분들도 조심해서 즐거운 겨울 보내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