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연재해 4

지진이 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될까요?

안녕하세요 잡지식을 알려주는 심팔이에요~ ^^ 이제는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한번 알아볼 거예요. 지난 20년 동안 규모 3.0의 지진이 219번을 넘어서 발생했다는데요. 옆 나라 일본은 지진이 하도 나서 지진 대피요령을 잘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세히는 잘 모르는 부분들이 많은 거 같아서 오늘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! 지진 오랫동안 누적된 변형 에너지가 갑자기 방출되면서 지각, 지표가 흔들리는 현상입니다 지진의 관련된 단어 몇 가지도 한번 알아볼까요? 진원:지진이 발생할 때 처음으로 에너지가 방출되는 지점 진도:어떤 지역에서 사람이나 구조물에 피해를 나타내는 지진 진동의 세기 진앙:진원 바로 위에 지표면과 만나는 위치(진앙인 곳은 피해가 제일 크답니다.) 그렇다면 지..

자연재해/지진 2020.09.05

홍수가 나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될까요

안녕하세요 잡지식을 알려주는 심팔이에요~ ^^ 오늘은 홍수가 나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되고 어떻게 행동해야되는지 알아볼거에요 우선 홍수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겠죠 홍수 집중호우로 인해 강또는 하천이 범람하여 주변에 피해를 입히면 홍수라고 한답니다. 홍수의 종류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요 #간만성 홍수(간만성이라는게 강이나 하천을 뜻하는거 같아요) #재해성 홍수(말그대로 재해 수준의 홍수를 말하는것 같아요) 그럼 홍수는 우리에게 어떤 피해를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#대량의 물이 움직이기때문에 물에 휩쓸려 실종되거나 사망할수도 있습니다 물이 모이기만 하면 그 힘이 정말 어마무시합니다 #물에 떠내려오는 물체(입간판,자동차, 유리...등)에 맞아 부상당하거나 사망할수도 있습니다 #홍수가 끝난뒤에는 물이 오염이되어있..

자연재해/홍수 2020.09.05

폭설이 내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될까요?

우선 폭설이 정확히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? 폭설 폭설(대설)이란 공간적, 시간적으로 집중되어 내리는 현상을 뜻하는데요 그럼 주의보와 경보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주의보:24시간 즉 하루동안 새로 쌓인 눈이 5cm 이상이 예상될 때 경보:24시간 하루동안 새로 쌓인 눈이 20cm 이상 예상될 때(산지는 30cm 이상일 때) 폭설이 내리면 어떻게 될까요 눈은 한 시간에 5cm까지 쌓일 수 있어서 교통이 순식간에 마비될 수도 있고, 항공기 운항에도 문제가 큰 영향을 줄 수가 있는데요 또한 폭설이 지속될 경우 비닐하우스나 축사 같은 농업용 구조물을 훼손해서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도 합니다. 그렇다면 우리는 폭설로 인한 피해를 어떻게 최소화시킬 수 있을까요? #비닐하우스나 축사, 창고 같은 ..

자연재해/폭설 2020.09.04

태풍 주의보(경보)가 울리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

우선 정확히 태풍이 무엇을 뜻하는지부터 알아보시죠 태풍 태풍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발달한 열대 저기압의 한 종류로,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.2 m/s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 현상을 말한다. 그럼 주의보와 경보의 차이점을 한번 볼까요? 태풍주의보:기상주의보의 하나로서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,풍랑,호우,폭풍해일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의보 발령 태풍 경보:기상 경보의 하나로서 태풍으로 인하여, 강풍경보나 풍랑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때, 또는 총강우량이 200mm 이상 예상될 때,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경보 발령 그럼 이제 사이렌이 울리면 어떻게 해야 될지 볼까요. 우선 도시지역과 농촌/산간지역 그리고 해안지역으로 나누..

자연재해/태풍 2020.09.03